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Crypto & Finance

(26)
CBDC와 한국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전략: 아직은 시작일 뿐, 기대는 크다 디지털 원화, 민간 사업자들도 본격 움직인다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민간 영역에서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위한 움직임이 부쩍 빨라졌습니다.특히 국내 대표 핀테크 및 빅테크 플랫폼인 카카오페이, 토스, 네이버페이, 업비트(두나무) 등이 이름을 올리며,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카카오그룹: TF 구성으로 전사 역량 집중 최근 카카오,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등 그룹 핵심 계열사 대표들이 참여하는 스테이블코인 TF를 출범시켰습니다. 플랫폼, 결제, 수탁 등 사업의 핵심 요소를 함께 갖춘 만큼 전사적 역량 투입을 본격화했다는 평가입니다 .실무 인력팀도 구성되어 논의된 의제를 실행 가능한..
CBDC란? 기존 화폐 시스템과의 차이 완벽 정리 돈의 진화, 그리고 새로운 흐름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돈은 오랜 시간 동안 형태를 바꿔왔습니다. 조개껍데기에서 금화, 지폐와 동전, 그리고 카드와 인터넷 뱅킹까지 이어졌습니다. 최근에는 간편결제 앱이 일상화되며 “현금 없는 사회”라는 말도 익숙해졌죠. 하지만 눈에 보이는 변화에도 불구하고 화폐의 본질적 구조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항상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시중은행이 중개하며, 금융기관을 거쳐야만 돈이 움직이는 구조였기 때문입니다. 편의점에서 커피 한 잔을 사는 단순한 결제조차도 사실은 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내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갔다고 표시되더라도, 실제 정산은 카드사와 은행, 그리고 한국은행의 망을 거쳐 며칠 뒤 마무리됩니다. 우리는 “즉시 결제”라고 생각하지만, 백엔드에서는 수많은 기관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