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Crypto & Finance

KAST: 스테이블코인 기반 글로벌 네오뱅크 에어드랍 정리

KAST: 스테이블코인 기반 글로벌 네오뱅크의 가능성과 현실적인 고민
KAST VISA CARD

💡 KAST란 무엇인가

KAST 공식 사이트

 

KAST: Why bank with, when you can bank on

Spend Stablecoins & Crypto. 100M+ merchants and ATMs globally.

www.kast.xyz

 

KAST는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설계된 글로벌 디지털 네오뱅크 프로젝트입니다.

사용자는 은행 계좌 없이도 USDT, USDC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입금하고, 이를 바탕으로 Visa 카드 결제·송금·ATM 인출 등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KAST는 Solana 생태계 기반의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준비 중이며, BitGo와 같은 기관 커스터디 솔루션을 통해 자산 보관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즉, 블록체인을 활용해 은행 없이도 은행 같은 경험을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죠.

 


 

🌍  왜 주목받는가

 

글로벌 송금과 디지털 결제 환경에서 스테이블코인 기반 금융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특히 은행 인프라가 취약한 지역이나, 암호자산으로 직접 결제하려는 유저들에게 KAST는 실제 쓸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 카드라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KAST 카드의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USDT, USDC 충전 → 실시간 Visa 결제
  • Apple Pay / Google Pay 연동
  • 글로벌 150개국 이상 사용 가능
  • 결제 금액의 일부가 포인트(KAST Point)로 적립되어 추후 에어드랍 교환 예정

 

이 포인트는 KAST가 공식적으로 예고한 TGE(토큰 제네시스 이벤트) 시점에 $KAST 토큰으로 스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단순히 카드로 결제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달러 금융 인프라 + 추후 토큰 보상” 을 동시에 얻는 셈이죠.

 


 

🗓️ TGE(토큰 출시) 예정 일정

 

예상 시기: 2025년 4분기~2026년 1분기 사이 (공식 미정, 내부 개발 단계)

세부 로드맵:

  • 2025 Q3: 사용자 포인트 적립 프로그램 공개
  • 2025 Q4: 초기 사용자 리워드 스냅샷
  • 2026 Q1: KAST 토큰(TGE) 공식 발행 및 포인트 → 토큰 전환(에어드랍) 예정

즉, 지금이 바로 초기 유저 활동으로 포인트를 쌓을 수 있는 시기입니다.

KAST 측은 이 포인트 적립 기록(결제, 스테이킹, 활동량)을 향후 온체인 스냅샷으로 기록해 TGE 시점에 에어드랍 대상자를 선별할 계획입니다.


 

KAST 카드 티어별 연회비·혜택

 

https://www.kast.xyz/?r=0#cards-price

 

KAST: Why bank with, when you can bank on

Spend Stablecoins & Crypto. 100M+ merchants and ATMs globally.

www.kast.xyz

 

카드 티어 연회비 2025년 결제 리워드 스테이킹 포인트 부스트 VIP 컨시어지 비고
Standard 무료 최대 3% 캐시백(포인트) 기본(부스트 없음) 없음 입·출금 한도: 무제한
Premium $1,000 / 년 최대 7% 캐시백(포인트) Standard 대비 ~2배 상세 혜택은 시즌/프로그램에 따라 변동
Limited $5,000 (일시불, 종신) 최대 7% 캐시백(포인트) 스테이킹 SOL 1× 포인트 부스트 포함 (KAST 시니어팀 접근) Founders Edition(메탈 카드) 한정판
Luxe $10,000 / 년 최대 10% 캐시백(포인트) 스테이킹 SOL 2× 포인트 부스트 포함 (KAST 시니어팀 접근) 최상위 등급, 추가 실물카드 제공

 

 


⚙️  결제 구조와 작동 방식

 

KAST 카드 결제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USDT/USDC 잔고] → [USD 변환] → [Visa 결제 네트워크] → [실제 매장 결제]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달러 자산으로 원화·유로·엔화 결제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사용자는 은행 없이도 즉시 결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카드 네트워크보다 훨씬 접근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한국 거주자는 아직 은행계좌에서 직접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다음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1️⃣ 국내 거래소(업비트, 빗썸 등) 에서 원화(KRW)로 USDT 혹은 USDC를 구매

 

2️⃣ KAST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 수수료가 저렴한 네트워크로 출금 (예: TRC-20)

 

3️⃣ KAST 앱에서 충전 확인

전송된 USDT가 지갑에 반영되면, 해당 금액이 자동으로 카드 결제 잔고로 사용 가능

 

4️⃣ KAST Visa 카드 발급 신청 및 결제
실시간으로 스테이블코인이 달러로 환산되어 결제됨

결제는 USD → KRW 환율 기준으로 정산되며, 가맹점 입장에서는 일반 Visa 해외 결제로 처리됩니다.

 

5️⃣ 결제 내역 확인 및 포인트 적립

결제 시 금액의 일정 비율이 KAST 포인트로 적립되어 추후 TGE 시 에어드랍 대상 데이터로 반영됩니다.

 

에어드랍 참여하러가기

 


 

 

⚠️  김프와 결제 스프레드 리스크

 

하지만 한국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환율 스프레드(김프) 문제를 간과하기 어렵습니다.

 

2025년 10월 21일 기준 1달러의 실제 환율은 약 1,428원 수준인데,
국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USDT는 약 1,508원 (김프 약 +5%) 정도로 형성돼 있습니다.

빗썸 - Bianance

이 말은, 한국 거래소에서 비싼 가격(김프가 붙은 USDT)을 구매해 KAST로 전송하고,

그 USDT로 해외 기준 환율(1,428원)로 결제하게 되면 5~7%의 손해를 보며 소비하는 구조가 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1 USDT를 1,508원에 샀다면
KAST 결제에서는 1 USD = 1,428원 기준으로 환산 → 실질 구매력 1,428원 → 약 80원, 대략 5.6%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손실은 결제 수수료(약 1~2%)까지 더하면 최대 7%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KAST는 결제 리워드(3~10%)가 에어드랍 포인트로 누적되고, TGE 시점에 $KAST 토큰으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만약 TGE 이후 토큰 가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평가된다면, 이 리워드가 김프나 결제 스프레드로 인한 손실분을 충분히 상쇄하거나 오히려 초과할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