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Crypto & Finance

국제 송금과 블록체인: 스위프트를 대체할 수 있을까?

국제 송금과 블록체인

 

국제 송금과 블록체인

1. 스위프트(SWIFT)의 정의와 프로세스

 

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는 전 세계 은행 간 안전한 금융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든 국제 결제 네트워크입니다.

  • 역할: 돈을 직접 옮기는 것이 아니라, 은행 간 결제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입니다.
  • 프로세스:
    1. A은행(한국)에서 B은행(미국)으로 송금 요청
    2. SWIFT망을 통해 결제 메시지 전달
    3. 중간에 여러 개의 중계은행(Correspondent Bank)을 거쳐 자금 이동
    4. 수수료와 시간이 발생 (보통 2~5일 소요)

 

즉, SWIFT는 “송금 네트워크”라기보다 은행 간 국제 금융 메시지의 표준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블록체인이 SWIFT를 대체할 수 있는 이유

블록체인은 은행을 거치지 않고 분산 네트워크에서 직접 자산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송금에서 블록체인이 강점을 가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실시간 결제: 몇 초 ~ 몇 분 안에 완료
  • 낮은 수수료: 중계은행이 필요하지 않음
  • 투명성: 모든 거래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추적 가능
  • 24/7 가동: 은행 영업시간에 제한받지 않음

 


 

3. 스위프트 vs 블록체인 비교

  SWIFT 블록체인
속도 2~5일(중계은행을 거침) 수초~수분(직접송금)
비용 은행 수수료 + 중계은행 수수료 네트워크 수수료(저렴)
신뢰성 은행 시스템 기반, 안정성 높음 탈중앙화로 보안성 높음
접근성 은행 계좌 필수 인터넷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
규제인증 각국 금융당국 규제  국가별 규제 미비, 불확실성 존재
유연성 기존 금융 인프라와 깊게 연계 기존 은행 호환성 부족

 

정리하면, 블록체인은 속도와 비용 측면에서 우수하지만, 규제와 제도적 신뢰도 면에서는 SWIFT가 우위에 있습니다.

 

 


 

4. SWIFT를 대체할 만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및 코인

 

 

리플(XRP, RippleNet / ODL)

  • 목표: 국제 송금의 유동성 문제 해결
  • 방식: 은행 간 자금을 즉시 결제할 때 XRP를 브리지(중개통화)로 사용
  • 활용 예시: Santander, SBI Holdings, Tranglo 등 실제 금융기관이 활용

스텔라(XLM, Stellar)

  • 목표: 개인과 소액 송금(특히 신흥국) 최적화
  • 특징: 저비용·소액 결제에 특화
  • 활용 예시: IBM World Wire 프로젝트, 아프리카 및 동남아 송금 서비스

USDC, USDT (스테이블코인)

  • 목표: 달러와 1:1로 연동되어 안정적인 가상 송금 수단 제공
  • 특징: 변동성 없는 가치 전달 수단
  • 활용 예시: 글로벌 송금 기업 Circle, Crypto.com, Bitso 등 실제 송금 네트워크에서 사용

Celo, Algorand

  • 목표: 모바일 결제 및 마이크로 송금 특화
  • 활용: 신흥국에서 은행 계좌 없이 모바일 기반 송금 지원

 


 

5. 관련 서비스

        • RippleNet ODL(On-Demand Liquidity) 
          리플의 ODL은 여전히 실제로 운영 중이며, 금융기관들이 채택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은행·송금업체가 채택하여 국경 간 결제를 빠르게 처리가 장점으로 일본의 SBI Remit, 브라질의 Travelex Bank, 그리고 기타 다수 기관들이 ODL을 활용해 즉시 정산 및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Ripple은 여전히 일부 소송 이슈가 있지만, 이는 주로 미국 내 기관과 관련된 증권성 논쟁에 국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ODL 및 RippleNet의 국제 송금 서비스에는 영향이 크지 않으며, 글로벌 측면에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실제로 2025년에도 SBI Remit 등 다양한 파트너 기관이 ODL을 활용 중입니다.  
      • IBM World Wire (Stellar 기반)
        IBM이 Stellar 기반으로 개발한 World Wire는 다국적 은행 간 실시간 결제 네트워크로  2019년에 론칭되었지만, 현재까지 정확한 상용화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 MoneyGram × Stellar + USDC (스테이블코인 기반)
        MoneyGram은 Ripple과의 제휴를 2021년에 종료한 후, Stellar 네트워크 기반 USDC 스테이블코인 활용 송금으로 전환했습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유저들은 현금을 USDC로 전환하거나, USDC 형태로 송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Stellar 기반 송금 및 USDC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관련 온/오프 램프 기능이 운용 중입니다.
        관련링크 :https://corporate.moneygram.com/about-us/?utm_source=chatgpt.com
      • Circle Payments Network (CPN) 및 USDC 기반 국제 송금 (출시 준비중)
        Circle은 2025년 Q2 실적 발표에서 USDC의 온체인 활동 급증cross‑border payments 솔루션 확장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2025년 4월, Circle Payments Network (CPN) 출시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USDC, EURC 등 규제된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실시간 결제 네트워크입니다. 

 


 

6. 마무리 – 스위프트를 대체할 수 있을까?

 

스위프트는 수십 년간 글로벌 금융 인프라의 핵심 역할을 해왔으며, 제도적 신뢰도와 안정성에서 여전히 강력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속도, 비용, 접근성 면에서 이미 SWIFT를 능가하는 혁신을 보여주고 있으며, 리플·스텔라·스테이블코인 기반 서비스는 실제 상용화 단계에 들어섰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규제 체계의 불확실성기존 은행 시스템과의 호환성 부족이라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만약 이러한 부분이 보완되고, 제도적 신뢰를 확보한다면 블록체인은 충분히 스위프트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