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Crypto & Tech

ERC와 EIP의 차이: 이더리움 표준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ERC와 EIP의 차이
ERC와 EIP의 차이

블록체인을 공부하다 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EIP(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입니다.

 

둘 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발전과 관련된 제안 문서이지만, 의미와 역할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EIP와 ERC의 차이, 각각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채택되고 적용되는지, 그리고 EVM 기반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사실 기반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EIP란 무엇인가

EIP(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는 “이더리움 개선 제안”을 의미합니다.

이 정의는 공식 문서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An EIP is a design document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Ethereum community, or describing a new feature for Ethereum or its processes or environment.” 

 

즉, EIP는 새로운 기능이나 프로토콜 변경, 개발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누구나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구조를 변경하고 싶다면 EIP를 작성해 제안할 수 있습니다.

 


 

2. ERC란 무엇인가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는 EIP의 한 종류입니다.

특히 스마트컨트랙트 인터페이스, 즉 토큰 표준이나 애플리케이션 표준을 정의하는 문서가 ERC로 분류됩니다.

 

공식 문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ERCs are application-level standards and conventions, including contract standards such as token standards (ERC-20) and name registries.”

 

대표적인 ERC는 다음과 같습니다.

 

  • ERC-20: 대체 가능한 토큰(Fungible Token) 표준
  • ERC-721: 대체 불가능 토큰(NFT) 표준
  • ERC-1155: 멀티토큰 표준

 

3. EIP와 ERC의 차이

  EIP ERC
정의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범위 이더리움 전체 네트워크 개선안 토큰 및 스마트컨트랙트 표준
적용 합의 알고리즘, 가스비 구조, 데이터 저장 등 ERC-20, ERC-721 같은 토큰 인터페이스
영향 범위 프로토콜 레벨 애플리케이션 레벨
예시 EIP-1559, EIP-4844 EIP-1559, EIP-4844

 

 


4. 채택 과정

  1. 작성 : 개발자 또는 커뮤니티 구성원이 EIP 문서를 작성하여 GitHub 저장소에 제출합니다.
  2. 논의 : Ethereum Magicians 포럼, AllCoreDevs 콜 등에서 피드백 수집.
  3. 상태 변경: Draft → Review → Last Call → Final 단계로 진행되며 일부는 채택되지 않고 폐기되기도 합니다.
  4. 적용 : 최종 승인되면 하드포크 업그레이드에 반영, ERC의 경우 지갑, 거래소, 디앱이 이를 지원하면서 사실상 표준이 됩니다.

 


 

5. 실제 사례

  • EIP‑1559: 이더리움 수수료를 ‘베이스피+팁’ 구조로 개편하고 일부 수수료를 소각하도록 한 제안입니다. 수수료 예측 가능성을 높였고 네트워크 혼잡 대응을 개선했습니다. 
  • ERC‑20: 대체 가능한 토큰 표준으로, 지갑·거래소·디앱 간 상호운용성을 이끄는 핵심 규격입니다. 
  • ERC‑721: NFT(대체 불가능 토큰) 표준으로, 고유 자산의 발행·이전·소유 추적 인터페이스를 정의합니다. 
  • EIP‑4844(Proto‑Danksharding): 롤업용 블롭(blob) 데이터 공간을 도입해 L2 데이터 게시 비용을 대폭 낮춘 제안으로, 2024년 Dencun 업그레이드에서 메인넷에 활성화되었습니다.  

 

EIP‑4844(Proto‑Danksharding) 자세히: 채택 과정과 기여도

발의된 이유

EIP-4844는 2022년 초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당시 레이어2(Rollup)의 수수료가 여전히 높았던 것이 문제였습니다. 롤업이 L1(메인넷)에 데이터를 올릴 때 기존 calldata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 방식은 너무 비싸고 비효율적이었습니다. 그래서 롤업 전용 데이터 공간(블롭, blob) 을 만들어 수수료를 크게 낮추자는 취지로 발의되었습니다.

 

채택까지 걸린 시간

제안 이후 약 2년간 수십 차례의 개발자 회의와 테스트넷 검증 과정을 거쳤습니다. 여러 번의 클라이언트 호환성 점검과 보안 리뷰가 필요했기 때문에 시간이 길어졌습니다. 최종적으로 2024년 3월, Dencun 업그레이드에 포함되어 메인넷에 적용되었습니다.

 

개선된 점

  • L2 수수료 대폭 하락: 기존 calldata보다 훨씬 저렴한 블롭 공간을 사용하게 되어, Arbitrum, Optimism, zkSync 같은 L2 네트워크의 거래 수수료가 크게 줄었습니다.
  • 확장성 강화: 더 많은 사용자가 몰려도 레이어2는 저렴한 수수료로 안정적인 거래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미래 로드맵 기반: EIP-4844는 최종 목표인 Danksharding의 전 단계로, 장기적으로 수천만 사용자까지 수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6. EVM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활용

  • ERC 표준은 Polygon, BNB Chain, Avalanche 등 대부분의 EVM 호환 네트워크에서 그대로 적용됩니다.
  • EIP는 이더리움 전용이지만, 다른 체인에서 참고하거나 변형 버전이 도입되기도 합니다.
    • 예: BNB Chain은 EIP-1559와 유사한 가스비 소각 구조 채택.

 


 

7. 의미와 영향

개발자에겐 호환성을 보장받으며 코드 작성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에겐 지갑, 거래소, 디앱에서 동일한 경험 제공하고

생태계는 이를 통해 중앙화된 표준 기관 없이도 개방형 프로세스를 통해 발전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전통 IT 업계의 IETF RFC(Request for Comments) 제도와 유사하지만, 블록체인에서는 더욱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8. 결론

EIP와 ERC는 모두 이더리움 발전을 위한 제안 문서이지만, 범위와 성격은 다릅니다.

  • EIP: 네트워크 자체를 발전시키는 제안.
  • ERC: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표준 정의.

EVM 호환 네트워크 확산으로 ERC는 사실상 글로벌 표준이 되었고, EIP는 이더리움 발전뿐 아니라 다른 체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결국 이 두 가지는 블록체인의 기술적 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표준화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식 문서 및 코드 확인 링크

EIP 공식 사이트: https://eips.ethereum.org/

ERC 목록: https://eips.ethereum.org/erc

EIPs GitHub 저장소: https://github.com/ethereum/E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