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들어 런치패드 시장은 다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자금 조달 환경이 까다로워지는 가운데, AI를 결합한 스마트 런치패드 모델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비들패드(BuidlPad) 가 있습니다. 비들패드는 단순한 프로젝트 모금 플랫폼이 아니라, 인공지능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선별하고 커뮤니티 중심의 런칭 구조를 지향하는 새로운 형태의 AI 기반 런치패드입니다.
이 글에서는 비들패드의 핵심 전략과 최근 런칭된 프로젝트, 향후 계획, 그리고 기존 런치패드 및 거래소 런치패드와의 차이점을 살펴봅니다.
비들패드의 등장 배경
기존 런치패드 시장은 몇 년간 DAO Maker, Seedify, BSCPad 등 몇몇 플랫폼이 주도해왔습니다. 이들은 초기 투자자와 프로젝트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지만, 점차 진입장벽이 높고 불투명한 심사 기준이 문제로 지적되었습니다.
비들패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AI 기반 프로젝트 큐레이션, 커뮤니티 중심 참여 모델, Pre-TGE HODL 스테이킹 등의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AI가 시장 데이터, 커뮤니티 활동, 기술 문서, 팀 평판 등을 분석해 프로젝트를 평가하고, 사용자는 자신이 참여할 프로젝트를 점수 기반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즉, AI가 심사위원 역할을 일부 수행하는 구조입니다.
최근 런칭 프로젝트와 진행 현황
Falcon Finance price today, FF to USD live price, marketcap and chart | CoinMarketCap
The live Falcon Finance price today is $0.1603 USD with a 24-hour trading volume of $4,645,503,376.61 USD. We update our FF to USD price in real-time.
coinmarketcap.com
Falcon Finance는 비들패드 런치패드를 통해 성공적으로 커뮤니티 세일을 마친 대표 프로젝트입니다.
범용 담보 인프라(Universal Collateral Infrastructure)를 표방하며,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단일 플랫폼 내에서 담보로 활용할 수 있는 DeFi 프로토콜입니다.
비들패드 세일에서는 목표액 400만 달러를 훨씬 웃도는 1억 1,280만 달러 규모의 청약이 몰리며 초과 배정 기록을 세웠습니다.
이후 2025년 9월 29일 HTX 거래소에 FF/USDT 페어로 상장되었으며, 바이낸스 역시 상장 후보군 공지를 통해 FF의 유통량(약 23.4%)과 토큰 구조를 공개했습니다.
현재(2025년 10월 기준) FF 가격은 약 0.16달러, 시가총액 약 3억 달러대, 24시간 거래량은 46억 달러 이상으로 확인됩니다.
상장 초반의 급등 후 조정을 거쳐 안정세에 진입했으며, 베스팅과 스테이킹 프로그램이 병행되면서 장기 투자 중심의 유동성 구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Solayer(LAYER)
Solayer price today, LAYER to USD live price, marketcap and chart | CoinMarketCap
The live Solayer price today is $0.3033 USD with a 24-hour trading volume of $31,046,833.24 USD. We update our LAYER to USD price in real-time.
coinmarketcap.com
Solayer는 비들패드 초기에 런칭된 프로젝트 중 하나로, AI·L2 확장성 인프라를 주제로 합니다.
여러 블록체인 간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개선하고, AI를 통해 거래 효율을 최적화하는 기술적 솔루션을 제시했습니다.
2025년 2월 11일 바이낸스 상장(LAYER/USDT 등 다중 마켓)을 통해 글로벌 거래가 시작되었으며,
현재(10월 기준) 가격은 약 0.30달러, 시가총액 약 2억 8천만 달러, 24시간 거래량은 3,100만 달러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Solayer는 상장 초기 공개가 대비 약 3.5배 상승한 뒤 조정 구간을 거쳤으며, AI 기반 트랜잭션 최적화 기술과 빠른 제품 출시 속도 덕분에 지속적인 개발자 생태계를 확보했습니다.
비들패드의 AI 큐레이션 모델이 높은 점수를 부여한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히며, 기술 완성도와 로드맵 이행률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Sahara AI price today, SAHARA to USD live price, marketcap and chart | CoinMarketCap
The live Sahara AI price today is $0.08312 USD with a 24-hour trading volume of $38,549,758.24 USD. We update our SAHARA to USD price in real-time.
coinmarketcap.com
Sahara는 사용자 경험(UX) 중심의 DeFi 지갑·스왑 플랫폼으로, 비들패드 생태계에서 일반 투자자 친화형 인터페이스를 강조한 프로젝트입니다.
2025년 상반기 커뮤니티 세일을 통해 약 250만 달러를 모집했으며, 이후 상장 직후 거래량 급등으로 단기간에 공모가 대비 4배 이상 상승한 바 있습니다. 상장 초기에는 공모가 대비 최고 4배 상승을 기록했으며, 현재는 유동성 풀 중심의 수익형 스테이킹 모델을 통해 안정적인 유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Sahara는 비들패드의 AI 큐레이션 구조가 기술 중심 프로젝트뿐 아니라 사용자 서비스형 프로젝트까지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입니다.
Momentum Finance (MMT)
Momentum은 Sui 네트워크 기반의 DeFi·DEX 프로젝트로, 비들패드가 현재 커뮤니티 세일을 진행 중인 최신 프로젝트입니다.
총 모금 목표는 약 450만 달러이며, 기관투자자보다 일반 커뮤니티 참여자에게 우선 접근권을 부여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HODL/WAGMI 캠페인은 단순한 세일 참여를 넘어, 일정 기간 자산을 예치하고 신뢰도를 함께 형성하는 참여형 모델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아직 TGE(토큰 생성)와 상장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가격 데이터는 없지만, 참여율과 커뮤니티 반응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Momentum은 비들패드가 추구하는 AI 분석 + 커뮤니티 중심 구조를 가장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TGE 이후의 성과가 비들패드 AI 큐레이션의 실제 검증 사례로 주목받을 전망입니다.
📎 관련 프로젝트 공식 링크 & 참고 자료
| Falcon Finance (FF) | falcon.finance | @FalconFiApp | HTX (FF/USDT) CoinMarketCap |
The Defiant 기사 Cointelegraph 보도 |
| Solayer (LAYER) | solayer.org | @solayer_xyz | Binance (LAYER/USDT) CoinMarketCap |
Binance 상장 공지 CoinGecko 데이터 |
| Momentum Finance (MMT) | momentumfi.io | @MomentumFi_io | TGE 및 거래소 상장 예정 | Phemex 기사 Chainwire 보도 |
향후 런칭 예정 프로젝트
비들패드는 앞으로도 여러 프로젝트의 TGE를 예정하고 있으며, 특히 AI와 결합된 금융 인프라 및 DeFi 프로토콜 중심의 프로젝트들이 대기 중입니다.
현재 공개된 로드맵에는 Stable 프로젝트, AInvest 협력 생태계 런칭, Web3 금융 서비스형 플랫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비들패드는 향후 런칭마다 AI 분석 리포트를 제공해, 참여자들이 프로젝트의 리스크·성장성·커뮤니티 점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단순한 토큰 판매 플랫폼을 넘어, 데이터 기반의 투자 인프라로 발전하는 단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AI 기반 큐레이션, 객관성은 얼마나 확보됐을까?
비들패드가 내세우는 가장 큰 차별점은 AI 큐레이션입니다.
AI가 프로젝트의 신뢰도와 성장 가능성을 평가해 순위를 매기고, 운영팀은 그 결과를 참고해 커뮤니티에 추천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AI가 얼마나 객관적으로 작동하느냐 입니다.
AI는 인간의 감정이나 관계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에서 객관적이라 불리지만, 실제로는 운영진이 어떤 데이터를 입력하고 어떤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거래량이나 팔로워 수 같은 양적 지표에만 높은 비중을 두면 기술력이나 개발 완성도는 낮지만 마케팅이 강한 프로젝트가 상위로 랭크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들패드 운영진이 파트너 프로젝트(AInvest, Stable 등)를 전략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AI 모델의 기준을 조정하거나 가중치를 바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Web3 런치패드는 완전 자동화가 아니라 AI가 추천 → 운영팀이 승인 → 커뮤니티 공개 형식의 하이브리드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결국 AI 큐레이션은 어디까지나 도구일 뿐, 판단은 여전히 사람의 몫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AI 큐레이션의 가치
AI 큐레이션이 이상적으로 작동한다면 투자자는 다음과 같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별 리스크 및 성장성 점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고, 과거 유사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기반으로 참여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명확한 평가 기준 덕분에 ‘감’이 아닌 데이터 기반으로 투자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AI의 추천 기준이 불투명하거나 운영팀의 개입이 강하면 “AI가 추천했다 = 신뢰도 높다”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AI가 제시한 점수보다 근거 데이터가 공개되는지, 추천 과정이 투명한지를 살펴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AI 큐레이션이 완벽히 공정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프로젝트 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기성 프로젝트를 일정 부분 걸러내는 효과는 있습니다. 결국 핵심은 AI가 아니라, AI를 운영하는 사람의 투명성입니다.
기존 런치패드 및 CEX 런치패드와의 비교
| 비들패드 | 기존 런치패드 | |
| 참여 구조 | 화이트리스트·티어 기반, 경쟁적 참여 | 커뮤니티 중심 + HODL 스테이킹 캠페인 |
| 심사 기준 | 내부 인력·VC 중심 평가 | AI 기반 분석 + 커뮤니티 평가 병행 |
| 보상 구조 | 단순 IDO 참여 리워드 | Pre-TGE 스테이킹 등 참여형 보상 |
| 상장 연결성 | 즉시 상장, 단기 수익 중심 | 베스팅 기반, 중장기 성장 중심 |
| 투명성 | 심사·배분 기준 비공개 | AI 평가 프로세스 공개(예정), 거버넌스 강화 |
비들패드는 속도보다는 신뢰를 강조하는 구조입니다.
거래소 런치패드가 상장 직결형 구조라면, 비들패드는 데이터 기반 성장형 모델을 추구합니다.
결론: AI가 주도하는 새로운 런치패드의 방향
비들패드는 AI와 블록체인의 결합을 통해 공정하고 효율적인 프로젝트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현재 단계에서는 완전한 자동화나 절대적 객관성은 아닙니다. 하지만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커뮤니티 중심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AI 큐레이션은 사람의 판단을 대체하기보다는,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투자자에게 선택권을 되돌려주는 장치로 이해해야 합니다.
결국 AI 런치패드의 미래는 알고리즘의 정교함보다, 그 알고리즘을 얼마나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블록체인 > Crypto &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더리움, 스테이블코인 활성화의 최대 수혜자? (0) | 2025.10.21 |
|---|---|
|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 한국 암호화폐 시장의 새 판을 짜다 (0) | 2025.10.20 |
| 한국에서 테더(USDT)를 달러 가격으로 살 수 있을까? 김치프리미엄의 구조와 한계 (0) | 2025.10.16 |
| 업비트 상장 YGG 정리 최신 업데이트와 락업 현황 한눈에 보기 (0) | 2025.10.15 |
| Perp DEX, 중앙화 선물시장을 대체할 새로운 파생상품 구조 (0) | 2025.10.14 |
| BNB와 MNT의 놀라운 회복력, 거래소 코인 메타가 다시 시장을 이끌다 (0) | 2025.10.13 |
| 트럼프의 ‘관세빔’ 맞은 코인시장, 단 1시간 만에 2조 청산 (0) | 2025.10.11 |
| Stable: USDT만을 위한 새로운 블록체인 그리고 스테이블코인의 진화 (0) | 2025.10.10 |